메뉴 닫기

메니에르병의 3가지 구조적 원인과 치료법: 경추 측두골 턱관절

경추, 측두골, 턱관절 및 상악골의 변형과 긴장을 포함한 두개경추불안정은 내이의 림프 배출을 정체시키고 내림프 수종을 유발하는 구조적 원인으로서 반복되는 메니에르병의 숨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6년전 처음 메니에르병이 발병하였고 주기적으로 어지럼증이 발생하여 일상 생활이 힘듭니다. 심한 어지럼이 오면 집 밖을 나가지도 못하고 거의 누워만 있어야 할 정도로 아무것도 할 수 없었습니다. 이뇨제 등 복용중이지만 귀먹먹, 귀압력감이 사라지지 않고 계속되고 있습니다.”

“머리 속이 꽉차는 압력감, 무거움, 두통이 있고, 귀는 먹먹하고 윙소리가 나고, 어지럽고 속이 메스껍습니다. 뒷머리, 좌측 목이 아프고 어깨도 평소 안좋습니다. 약을 계속 복용중인데도 어지럼, 귀먹먹함, 두통이 호전되지 않고 일상 생활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아 불안합니다.”

“평소 이석증, 어지럼증이 있었는데 2년전부터 심한 어지럼증, 귀먹먹함, 두통, 메스꺼움, 구역감으로 메니에르병을 진단받았습니다. 외출하기도 힘든 심한 어지럼증이 2~3개월마다 한 번 꼴로 오는데 이번에는 2달 동안 어지러움, 메스꺼움, 두통, 귀먹먹함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수척한의원에서는 메니에르병 치료를 위해 내원하는 분들을 자주 접하고 있습니다. 회전성 어지러움, 울렁이는 어지러움, 메스꺼움과 구역구토, 귀의 충만감과 답답함, 균형감 상실, 안진, 두통, 청력저하 등을 호소하며 이로 인해 일상 생활이 무너지고 황폐화되는 고통을 호소합니다. 쉽게 피로해지고 시력이 저하되거나 흐리고 심지어 현실과 분리된 듯한 감각이상을 겪기도 합니다. 수년에서 십수년의 다양한 유병기간을 보여주고 이명, 귀먹먹함, 목과 어깨의 통증을 흔히 동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메니에르병은 과연 완치와 관해가 불가능한 질환일까요?

메니에르병을 일으키는 내림프 정체

내이의 체액 정체는 메니에르병을 유발하는 직접적 요인이자 항상 동반되는 병리적 현상입니다. 

내이에는 내림프라는 체액이 순환하고 있습니다. 내림프관(endolymphatic duct)를 통해 경막 내의 내림프낭(endolymphatic sac)으로 연결됩니다. 이 곳에서 내림프는 주로 다음과 같이 배출됩니다.

  • 내림프낭에서 구멍이 많이 나 있는 작은 혈관으로 직접 흡수
  • 내림프낭 주변의 경막내 림프망으로 배출

내림프 배출은 이처럼 다중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며 혈관계 뿐만 아니라 경막내 림프망도 중요한 배출 경로가 됩니다. 

내림프수종과 메니에르병의 직접적인 요인인 내림프 배출의 장애는 왜 발생하는 것일까요? 크게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두개골과 상부경추의 이탈과 변형 – 정맥망과 림프망에 대한 기계적 스트레스
  • 측두골의 긴장과 움직임 제한 – 두개내 경막으로 긴장이 전달, 내림프낭과 미세혈관에 대한 스트레스
  • 턱관절과 상악골의 긴장 – 측두골 불안정을 유발하고 지속시키는 요인

두개골과 상부경추: 정맥망과 림프망에 스트레스

두개골, 상부경추 C1-C2의 이탈과 변형은 두개바닥 영역의 정맥망과 림프망에 압박, 꼬임, 당김 등의 스트레스를 가해 정맥혈류와 림프의 배출을 느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두개골은 좌우 옆으로 이탈되거나 회전된 변형이 흔히 일어납니다. 이런 불안정이 갑자기 심화되거나 오랫동안 고착되어 공간적인 왜곡이 만들어지고 심부의 인대와 경막이 한쪽에서는 당겨지고 다른쪽에서는 뭉쳐지는 등 불균형한 긴장이 형성됩니다.

이로 인해 두개바닥 주변의 정맥망과 림프망에 기계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보다 말단에 위치한 내림프의 배출을 느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측두골: 두개내 경막 긴장으로 내림프낭과 미세혈관에 스트레스

두개골의 각 머리뼈 사이에는 특정한 관절면이 있어서 각 머리뼈가 미세하지만 고유한 움직임이 이루어집니다. 머리뼈 사이의 관절에 변형, 압박, 긴장 등으로 머리뼈의 고유한 움직임이 제한되면 두개바닥의 경막, 대뇌의 좌우를 가르는 falx cerebri, 소뇌의 천장을 덮고 있는 tentorium cerebell와 같은 막들에 불균형한 긴장을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긴장은 두개바닥의 구멍과 뼈 사이의 틈을 통해 들고나는 혈관, 신경, 체액 등에 심대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두개경추불안정이란).

내이와 내림프관은 측두골 내에, 내림프낭은 측두골과 경막 사이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측두골의 긴장이 심화되고 고유한 움직임이 제한되면 두개내 경막에도 부적절한 긴장이 형성됩니다. 이런 경막 긴장은 내림프관, 내림프낭 주변을 압박해 배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측두골이 외회전된 상태는 내림프계에 직접적인 긴장을 전달합니다. 오른쪽 측두골이 외회전된 상태라면, 오른쪽 턱이 후방으로 들어가고 왼쪽보다 덜 벌어지고 오른쪽 유양돌기가 후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양상을 보여줍니다.

메니에르 발병에 대해 갑작스런 강한 머리 동작, 상악골이나 아래턱에 과한 힘이나 움직임, 교통사고, 외력 등을 얘기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이런 요인들은 턱관절, 경추를 통해 측두골에 긴장과 움직임 제한이 유발된 것을 시사합니다.

턱관절과 상악골: 측두골 불안정을 유발하고 지속시키는 요인

전방머리자세와 후두부 긴장, 불균형한 교근 측두근의 긴장, 과도한 힘에 의한 발치, 부정교합, 스트레스, 구강호흡 등은 턱관절(TMJ) 기능장애와 상악골 변형을 초래합니다. 이는 측두골을 포함한 두개골 전체 역학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턱관절은 측두골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TMJ 장애는 측두골의 비정상적 움직임 패턴을 만듭니다. 상악골 변형 또한 접형골을 통해 측두골에 영향을 미쳐, 측두골이 정상적인 내회전-외회전 리듬을 잃고 한쪽 위치에서 고착되는 측두골 불안정이 발생합니다.

측두골의 비정상적 위치는 두개바닥에 부착된 경막에 부적절한 긴장을 전달합니다. 특히 측두골이 외회전되어 내회전이 제한된 경우 경막의 전외측부가 과긴장되는데 이는 내림프낭 주변에 기계적 압박을 주어 내림프 배출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턱관절과 상악골의 변형, 측두근, 익상근, 교근의 만성적 긴장은 측두골 불안정을 고착시키고, 경막긴장과 내림프 배출 장애를 지속시키게 됩니다.

두개경추불안정은 메니에르병의 숨은 원인

메니에르병과 어지러움 질환으로 병원에 갔을 때 경추와 두개바닥 영역의 구조와 움직임에 주목하고 살펴보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경추, 측두골, 상악골과 턱관절 등 두개경추불안정이 메니에르병의 숨은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은 생소하게 들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1998년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메니에르 환자의 75% 정도에서 경추1번(C1)과 두개바닥, 경추1번(C1)과 2번(C2) 사이에 구조적 불균형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메니에르 환자들의 경추 분절 하나하나의 움직임을 테스트해보면 보통의 경우보다 심한 제한과 이탈 및 통증이 있는 경우가 흔하게 관찰됩니다. 특히 상부 경추와 후두하 부위에서 이런 문제가 두드러집니다. 게다가 상부 승모근, 어깨올림근, 척추 주변 근육도 심한 긴장과 수축으로 통증이 목에서 어깨, 등 부위까지 내려가기도 합니다(상부경추 부정렬과 이로 인한 증상).

메니에르병의 경추성 sign과 증상 논문제목

2021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메니에르병, 이석증(BPPV), 경추성 현훈 질환에 대해 경추 불안정 문제와 강한 연관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메니에르의 경우 편측 80%, 양측 88.23%, 이석증(머리 움직임에 따라 어지러움이 발생)의 경우 우측 75%, 좌측 66.67%, 경추성 현훈(목 통증과 함께 어지러움이 발생)의 경우 90%로 대부분 경추의 문제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이석증과 두개경추불안정).

메니에르병의 숨은 원인과 치료법

두개경추불안정은 내이의 체액정체를 지속시켜 어지럼증, 울렁거림, 메스꺼움, 구역, 구토, 귀먹먹, 청력저하, 두통, 이명, 안진을 유발하고 지속시키는 숨은 원인입니다. 이러한 복합 증상의 완화와 관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본래의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의 회복이 중요합니다.

이수척한의원에서는 오스테오파시 수기치료와 치료한약을 통해 두개경추불안정을 개선시킴으로써 메니에르병과 복합증상의 회복을 도와드립니다.


상담예약 신청하기
(평일 10시~6시에 예약하신 전화번호로 상담전화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양식을 작성하려면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를 활성화하십시오.
문의하실 증상을 선택해주세요

6년전 처음 메니에르병이 발병. 이후 2년간 심한 어지러움과 함께 안구진탕, 귀먹먹함, 두통, 이명, 청력저하, 구역감, 구토, 코로 숨쉬기 힘들고 숨이 잘 안들이쉬어지는 등의 동반 증상들로 몸무게가 15kg나 빠질 정도로 무척 힘들었었고, 이후에도 이틀에 한번 꼴로 어지러움과 동반증상이 계속됨. 최근 2022년 11월초에 증상이 악화되어 12월초 본원에 내원하여 치료를 시작. 치료 시작하면서 ...
두개경추요법 2회 치료후 일어난 일
6개월 전쯤에 돌발성 난청이 왔어요. 어지럼도 너무 심하고 왼쪽이 빙빙 돌아서 걸을 때마다 오른쪽으로 치우치고, 구토감도 너무 심했어요. 그래서 이비인후과 가서 스테로이드 처방받아서 청력 떨어진 건 돌아왔는데, 어지러움이나 귀 먹먹한 것, 울렁거림 이런 건 해결이 안 됐었어요. 병원에서는 청력이 돌아왔으니까 딱히 더 이상 할 건 없고 시간이 좀 필요하다고 하셨는데, ...
어느 날,환자의 남편분이 "아내가 많이 어지러워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이며, 여기저기 치료를 다녀봤지만 증상이 나아지지 않아 어디서도 못 고친다고 생각하고 매우 우울해하는 상태"라면서 예약이 가능한지 문의하셨습니다. 환자분과 남편분이 예약 날짜에 방문하셨는데, 환자분은 고개를 푹 숙이고 어깨를 움츠린 채 땅만 보면서 걷는 모습이 매우 불안정하며 불편해 보였습니다. 진료실에서 환자분은 기운이 ...
2016년 좌측 사랑니 발치 후 메니에르라는 병에 시달리기 시작했습니다. 2017년 11월부터 어지럼증이 극심해지더니 귀가 멍멍해지는 느낌과 함께 청력까지 점점 잃어갔습니다. 대학병원에서 고용량 스테로이드, 고막주사, 이뇨제 치료를 받고 저염식을 꾸준히 했지만 증상은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귀의 먹먹함은 더 심해졌고 청력은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 양방 치료로는 더 이상 해결할 수 없다는 생각에 ...
미국에서 몇 년 동안 어지럼증, 두통, 머리와 팔의 쓰라림, 귀 먹먹, 밤마다 찾아오는 가위눌림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분이 치료를 위해 귀국하셔서 이곳저곳 병원을 전전하고 오신 환자분의 이야기입니다. ​ "선생님, 저는 미국에서 몇 년 동안 턱관절과 귀 때문에 정말 고생을 많이 했어요. 턱관절이 너무 아파서 입을 크게 벌리지도 못하고, 귀는 ...
1년 전부터 어지러움을 느끼시면서 동시에 눈이 침침하며, 시야가 흐릿해지고 초점이 잘 맞지 않고, 눈부심, 비문증 증상으로 내원하신 환자분의 이야기입니다. 특히 눈의 침침함이 어지러움보다 더 불편하다고 호소하셨으며, 10년 넘게 목과 어깨 통증과 묵직함때문에 너무 고생스럽다고 말씀하셨습니다. ​ 주요 증상 - 어지러움: 하루 종일 붕 뜨는 듯한 느낌이 지속되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
자동차 사고, 자전거 사고, 갑작스러운 주저앉음, 계단에서 넘어짐과 같은 사고 경험 후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사고는 두개경추의 불안정성을 유발하여 어지럼증, 멍한 느낌, 비현실감, 두통, 눈이 침침한 느낌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실제로 70대 여성분께서도 계단에서 넘어진 후 어지러움, 공기(산소)가 머리에 잘 안들어 가는 느낌, 귀가 먹먹한 ...
어지러움 증상 때문에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었던 70대 여성분의 이야기입니다. ​ "요즘 들어 엎드리기만 하면 어지러움이 너무 심해요. 머리가 빙글빙글 돌면서 속이 울렁거리고 토할 것 같아요. 게다가 목 뒤쪽, 특히 오른쪽 목부터 어깨까지 쭉 당기는 듯한 통증까지 있어서 일상생활이 너무 힘들어요." ​ "이런 증상이 벌써 2년 가까이 계속 반복되고 있어요 ...
50대 중반 여성 환자분이 2018년 이석증 발병 이후 귀먹먹함, 이명, 청각과민, 두통 증상이 계속되던 중 2023년 11월부터 심한 어지럼증이 추가되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호소하셨습니다. 특히, 고개를 숙이거나 방향을 전환할 때 회전성 어지럼증이 심해져 마치 안경을 새로 맞춘 듯한 이질감을 느낀다고 하셨습니다. ​ 처음 이석증 발병 이후 여러가지 증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