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증(BPPV)은 머리 위치, 움직임에 따라 회전성 어지러움과 안진이 나타나는 질환으로서 말초성 어지러움 중 가장 흔한 유형입니다. 이석 조각이 평형모래막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내림프 속에 부유하여 증상이 나타납니다. 반고리관 결석과 팽대부릉정 결석으로 분류되며, posterior canal BPPV, lateral canal BPPV, anterior canal BPPV로 더 나뉘어집니다.

이석증은 안진과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테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posterior canal BPPV의 경우 Dix-Hallpike maneuver, lateral canal BPPV의 경우 Supine Roll Test로 BPPV 유형을 알 수 있습니다.


이석정복술 또는 이석교정술은 머리의 위치를 변화시켜 반고리관의 공통각과 같이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 영역으로 이석 조각을 옮기는 방법으로서 posterior canal BPPV의 경우 Epley maneuver, lateral canal BPPV의 경우 Gufoni maneuver 등이 있습니다.


이석정복술로 어지러움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이석증은 이석정복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잔어지러움(residual dizziness)이 남거나 환자 중 70%가 재발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잔어지러움은 성공적인 이석정복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균형 장애와 어지러움을 느끼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런 잔어지러움 상태는 수일에서 수개월까지 지속되기도 합니다(이석증 후 머리가 무겁고 어지러움이 계속되는 원인: 두개경추불안정).
2022년 발표된 해외 연구논문인 「Risk factors for residual dizziness in patients with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after successful reposition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에 의하면 4,48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재발률을 조사한 결과 성공적인 이석정복술에도 불구하고 43%의 환자가 잔어지러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성공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거의 절반 정도의 환자에게서 잔어지러움으로 진행되었고 이런 잔어지러움은 복합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결론내리고 있습니다.

이 논문이 제시한 복합적 요인 중 다음과 같은 요인은 두개경추불안정과 연계를 시사하고 있습니다.
- 이석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이차성 이석증(secondary BPPV)
- 비정상적인 안구 전정 유발근전위(ocular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 – 뇌줄기 병소를 시사
- 비정상적인 경부 전정 유발근전위(cervical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 – 경추 근육의 연축과 불균형 시사
- 치료전 이석증을 오래 앓은 경우
두개경추불안정과 이석증의 재발
2022년 발표된 「Outcome for dizzy patients in a physiotherapy practice: an observational study」에서는 이석증으로 진단된 환자군과 이석증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환자군에 대한 임상적 특징과 예후인자를 다루고 있습니다.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관련해 어지러움에 동반된 구역감, 두통, 목통증 등의 증상이 있는데 목통증은 머리와 몸통의 경직 반응 속에서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자세를 피하는 쪽으로 머리를 두려는 과정에서 나온 증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목통증을 유발한 경직 반응, 근육의 연축은 척추 구조에 어떤 불안정이 있어서 머리, 목, 몸통을 통해 이를 안정화시키려는 반응을 시사합니다.

두개경추불안정을 배경으로 한 어지러움은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흔합니다(어지럼증 환자가 알아야 할 숨겨진 원인과 치료: 두개경추불안정).
“아침에 구역감을 느끼면서 일어났는데 심한 어지러움과 주변 공간이 기울어지는 것이었습니다. 이 일이 있기 한달 전부터 압박감 있는 두통, 머리를 바늘로 찌르는 듯한 감각, 치통과 안면통증, 눈부심, 눈 주변 통증, 귀 통증, 귀에 뭔가 차있는 느낌, 목에 이물감과 같은 증상들을 간헐적으로 겪었습니다. 최근에는 목 통증과 목 근육이 긴장되고 아픈 증상이 있었고 어지러움이 발생하기 전날에는 머리를 든 자세를 취하기가 어려울 정도였습니다.”
2022년 발표된 「Onset and resolution failure of recurrent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the role of cervical range of motion」에서는 경추 불안정과 이석증 재발의 연계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749명의 이석증 환자를 대상으로 경추분절의 가동성, 이석증의 재발, 이석정복술의 실패율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경추분절 가동성이 떨어질수록 이석증 재발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경추 불안정이 이석증 재발을 높이는 위험요인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두개경추불안정은 반복되는 이석증의 숨은 배경
성공적인 이석정복술 후에도 43%가 잔어지러움을 겪고, 70%가 재발을 경험하는 배경에는 두개경추불안정이 숨어있습니다.
두개경추불안정은 내이의 체액 순환을 정체시키고, 전정기관의 미세환경을 불안정하게 만들어 이석이 쉽게 떨어져 나오게 하는 배경 원인입니다. 이석정복술로 떨어진 이석을 제자리로 돌려놓아도 이석이 떨어지게 만드는 환경이 지속되는 한 이석증 재발은 계속 반복될 수 있습니다.
여러 번의 이석정복술에도 ‘또 재발할까’라는 불안감 속에 빠져있었지만 숨어있던 원인에 대한 정확한 치료를 받는다면 완전한 회복은 더 이상 막연한 기대가 아닙니다.
두개경추불안정이 고착될수록 이석증은 자주 재발하고 잔어지러움은 오래 지속됩니다. 하지만 구조적 변화가 완전히 고착화되기 전에 시작한다면 놀라울 정도로 빠른 회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반복되는 이석증과 끝나지 않는 잔어지러움에서 벗어나 어지럼증 걱정 없이 자유롭게 움직이던 예전의 건강한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 더 이상 불가능한 일이 아닙니다.


상담예약 신청하기
(평일 10시~6시에 예약하신 전화번호로 상담전화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