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성 어지러움(vertigo), 현기증(dizziness), 균형감 이상을 겪는 많은 사람들이 귀먹먹, 청각과민, 청력저하, 이명과 같은 귀 증상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목 통증, 두통, 소화불량, 메스꺼움도 흔한 동반 증상입니다. 이런 증상들이 서로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많은 분들이 일상 생활에서 느끼지만 각 증상 별로 따로따로 진단과 처방을 받게 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이런 연계된 증상들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현기증, 어지러움, 귀먹먹, 청각과민 증상들은 경추와 두개바닥의 불안정이 숨은 원인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두개경추 불안정에 대한 치료를 통해 복합증상들이 동시에 개선되는 것이 늘 확인됩니다.
“실내에서 아주 작은 전자파 소리 같은 것이 엄청 신경쓰일 정도로 들렸고, 야외에서는 각종 소리가 찌지직 찢어지는 듯이 들렸습니다. 귀가 먹먹한 느낌도 있고 귀 안이 간지럽고 팍팍 찌르는 느낌도 있었습니다. 잠자기 힘들 정도로 전등, 노트북, 가전기기에서 나오는 전자파 소리가 너무 거슬려서 약물도 처방받아 복용해봤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돌발성 난청을 겪은 이후 어지러움, 이명, 귀먹먹, 보행시 균형장애 증상이 몇 개월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청각과민 증상은 견디기 힘들 정도로 힘듭니다. 저와 비슷한 증상을 겪고 있는 분들이 스테로이드 주사, 이뇨제 복용을 하고 있지만 호전이 되는 경우가 별로 없는 것 같아 매우 불안합니다.“
이런 증상을 호소하면서 내원하는 분들을 관찰해보면 우선 목 긴장이 매우 심하고 경추 커브의 변형이 특징적입니다. 또한 측두골의 미세한 움직임이 줄어있고, 후두하에서 귀 뒤쪽으로 경결과 붓기가 있는 경우도 종종 보게 됩니다. 후두골과 상부경추 사이의 압박이 존재하고 상부경추 특히 경추1번인 Atlas의 이탈도 자주 관찰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치료하면서 어지럼증과 제반 증상이 빠르게 관해되는 것을 늘 보게 됩니다. 이는 두개경추와 상부경추의 불안정이 어지럼증과 제반 증상의 숨은 원인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상부경추 부정렬과 이로 인한 증상).
귀먹먹함과 두개경추불안정
귀먹먹함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이관 기능장애, 내이의 체액정체를 들 수 있습니다.
이관 기능장애의 경우, tensor veli palatini, levator veli palatini, salpingopharyngeus, tensor tympani와 같은 이관의 근육들이 이관의 개폐를 조절합니다. 이런 근육을 컨트롤하는 뇌신경인 미주신경과 삼차신경이 두개경추불안정으로 장애를 받게 되면 이관의 개폐가 잘 조절되지 못하게 되고 귀 안쪽의 체액이 정체됨으로써 이충만감과 함께 귀 통증, 어지러움, 소리에 민감해지는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내이에는 내림프와 외림프라는 체액이 순환하고 있습니다. 내림프는 내림프관(endolymphatic duct)를 통해 경막 내의 내림프낭(endolymphatic sac)으로 연결되고 내림프낭에서 구멍이 많이 나 있는 작은 혈관으로 흡수되어 배출됩니다. 외림프는 cochlear aquaduct를 통해 뇌척수액(CSF)로 연결됩니다.
내이의 체액은 이런 경로를 통해 두개내 정맥혈과 뇌척수액으로 배출되고 두개바닥과 경추를 따라 내경정맥과 림프관을 따라 순환되게 됩니다. 두개경추 구조의 이상으로 정맥과 림프관이 좁혀지거나 비틀리게 되면 배출이 느려지게 되면서 내이의 체액이 누적될 수 있습니다. 이런 내이의 체액 정체는 귀먹먹함 뿐만 아니라 어지러움, 이명, 청력저하, 귀 통증, 두통과 같은 증상의 원인이 됩니다.
상부경추 불안정과 청각과민
외부에서 들어온 소리는 고막을 진동시키고 고막에 붙어있는 추골(malleus)을 통해 침골(incus), 등골(stapes)로 전달되고 와우(cochlea)의 난원창을 진동시킵니다. 와우는 듣기를 담당하는 청각기관으로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청각을 담당하는 뇌로 전달합니다.
대부분의 청각과민은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여 둔화시켜주는 고막긴장근(tensor tympani), 등골근(stapedius muscle) 근육의 기능이상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근육들은 왜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는 것일까요? 한가지 이유는 이 근육들에 공급되는 신경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고막긴장근과 등골근을 수축시키는 신경은 삼차신경과 안면신경에 의해 공급됩니다. 상부경추와 두개경추의 불안정은 삼차신경과 안면신경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두 근육의 수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상부경추와 어지럼증
뇌로부터 두개바닥을 빠져나와 경추 앞으로 내려가는 미주신경과 혀인두신경은 심장의 박동과 혈압을 모니터링하고 이 정보를 뇌로 실시간으로 전달합니다. 경추의 불안정으로 상부경추 C1, C2의 이탈이 흔하게 발생하고, 일부 경추의 커브가 변형되고, 디스크와 인대의 퇴행성 변화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미주신경과 혀인두신경이 압박되거나 당겨져서 실시간 신경 신호가 차단되거나 왜곡될 수 있고 뇌줄기로 공급되는 혈류가 감소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은 어지러움, 현기증, 균형감 상실과 함께 다양한 복합 증상을 유발하는 요인이 됩니다.
상부경추 Atlas(C1), Axis(C2)로부터 몇 밀리미터(mm) 이내에 위치하여 가깝게 주행하는 신경, 신경절, 혈관을 좀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C2 신경근 (greater and lesser occipital nerve로 연결됨)
- 혀인두신경, 미주신경, 더부신경, 설하신경 (목신경혈관집에 감싸여 내려옴)
- 상부 경추 교감신경절(superior cervical sympathetic ganglia)
- 내경동맥, 척추동맥, 내경정맥
- 상부 경추 영역의 척수(삼차신경핵, 전정신경핵 등)
- 뇌줄기(brain stem)
상부경추인 Atlas(C1), Axis(C2)의 이탈과 불안정은 위에 나열된 신경 조직 중 일부 또는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상부경추의 불안정이 어지럼증 뿐만 아니라 신체 전체에 미치는 신경학적 영향은 매우 클 수 밖에 없습니다.
귀먹먹, 청각과민이 동반된 어지럼증의 숨은 원인의 치료
두개바닥과 상부경추의 불안정은 귀먹먹, 청각과민, 청력저하, 이명, 어지러움, 현기증, 균형감 이상을 유발하고 지속시키는 숨은 원인입니다. 이러한 복합 증상의 관해와 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본래의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의 회복이 중요합니다.
정교한 수기치료인 오스테오파시 치료를 통해 두개경추의 정상적 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관건입니다. 이수척한의원에서는 대부분 상부경추를 중심으로 한 두개경추 불안정이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있으며 두개경추 불안정에 대한 치료를 통해 재발되지 않는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특화된 한약처방을 통해 두개내와 척수에 정체된 체액의 배출이 빠른 증상 해소와 신경조직의 회복을 위해 중요합니다. 정체된 체액, 림프, 혈류는 점점 혼탁해진 상태가 되는데 조직과 세포가 한계에 다다르면 손상을 입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