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이명과 두개경추 불안정

이명은 매우 복합적인 질환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명을 관리하는 여러 종류의 치료법들이 있지만 완치가 검증된 치료법은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수척한의원의 두개경추센터에서는 이명의 숨은 원인인 두개와 경추의 불안정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두개경추 불안정이 모든 이명 질환의 원인이 되지는 않지만 일차적 원인이거나 연관된 요인일 경우 두개경추 불안정의 치료는 이명을 완화하고 나아가 관해 상태로 이끌어 줄 수 있습니다.

이명의 배경으로 두개경추불안정이 연관되어 있는 경우 이로 인한 여러 증상들 중 하나로 나타나기도 하고 어떤 경우는 이명이 가장 두드러진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이명이 주 증상인 경우 대표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명이 한쪽 귀에만 나타남
  • 목의 통증이나 불편감이 있음
  • 만성적인 목 근육의 긴장, 경직
  • 이명이 있는 쪽 얼굴 또는 눈 부위의 마비감, 감각이상
  • 씹는 동작시 이명이 더 커지거나 반대로 약해지는 변화가 발생
  • 입을 닫거나 열어서 이명이 낮춰지곤 함

하지만 이명을 겪는 분들 대다수는 어지러움, 균형감 상실, 두통, 목 통증, 귀먹먹함, 귀에 무언가 차 있는 느낌, 브레인포그, 머리에 무언가 끼어있는 듯한 압박감, 아침에 일어날때 머리가 맑지 않고 무거움, 눈 통증, 눈 부위 떨림이나 감각이상, 시야흐림, 눈부심, 비문증, 눈 초점 맞추기 어려움, 턱 통증, 치통, 얼굴 통증이나 감각이상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군 생활 중 큰 대포소리에 처음 이명이 발생하였습니다. 후두와 목 부위에 늘 불편한 느낌이 있고 목 움직임에 따라 통증이 있기도 했습니다.”

“머리가 꽉 찬 느낌과 두통, 눈 앞에 둥글게 잘 안보이고 뭔가 떠다니고, 우측 귀에서 밤만 되면 벌레소리 같은 이명이 들립니다. 오랜 동안 컴퓨터 앞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기운이 없고 아침에 일어나도 머리가 맑지 않고 항상 무겁고 멍합니다. 귀뚜라미 소리 같은 이명 소리가 24시간 내내 있습니다. 목, 어깨, 몸 전체가 긴장되고 경직되어 있다고 얘기를 종종 듣습니다.”

처음 현기증으로 시작된 증상이 점점 심해져 이명과 청력저하까지 겪고 있습니다. MRI 검사에서 C3-C7의 디스크 탈출로 인한 것이라 하여서 수술을 해야 한다고 하는데 망설이고 있습니다.”

“수술 후 이명이 발생하고 복부가 가스로 팽만하고 트림이 수시로 나옵니다. 이런 증상과 함께 현기증이 자주 발생합니다.”

상부경추 불안정, 두개바닥 불안정 등 두개경추 구조의 불안정은 두개내압의 증가, 이관 장애, 미주신경 장애, 뇌척수액 저류, 내이 장애 등 여러가지 기전을 통해 이명과 함께 위와 같이 다양한 스펙트럼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명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경로와  두개경추불안정

이수척한의원에 내원하는 두개경추불안정 문제를 가진 분들의 상당수가 이명 증상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고음조나 저음조, 박동성 및 벌레 소리, 바람 소리, 휘파람 소리 등 다양한 이명 소리를 호소합니다. 이명의 유형을 분류하자면 압박성 이명, 정맥성 이명, 박동성 이명, 이충만성 이명, 감각성 이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런 유형들의 이명을 유발하는 알려진 기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두개내압의 증가
  • 내경정맥 압박
  • 내경동맥 압박
  • 전정신경염
  • 뇌척수액 정체
  • 이관 장애
  • 전정신경의 부종
  • 전정와우신경 손상
  • 메니에르병

이관 장애를 예로 들면, tensor veli palatini, levator veli palatini, salpingopharyngeus, tensor tympani와 같은 이관의 근육들이 이관의 개폐를 조절합니다. 이런 근육을 컨트롤하는 뇌신경인미주신경과 삼차신경이 두개경추불안정으로 장애를 받게 되면 이관의 개폐가 잘 조절되지 못하게 되고 귀 안쪽의 체액이 정체됨으로써 이충만감, 귀의 통증, 어지러움, 소리에 민감해지는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명을 일으키는 다양한 기전의 원인을 추적해보면 아래 그림처럼 두개경추불안정이 숨은 원인으로서 배경에 자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명과 두개경추 불안정의 연관성

2019년 Interactive journal of medical research에 발표된 「The Presence of Physical Symptoms in Patients With Tinnitus: International Web-Based Survey」 에서는 6115명의 대규모 이명 환자를 대상으로 목, 머리, 턱 등 신체 증상의 동반여부를 조사했습니다. 연구 결과 6115명 중 대다수 이명 환자에게서 여러 가지 신체 증상을 동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추와 턱 관절에 직접적 영향을 받는 체성감각 이명으로 분류된 환자의 경우 이런 신체 증상이 더 흔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여러 유형의 이명이 두개경추불안정 문제와 직간접적인 연관성이 있음을 강하게 시사하는 것입니다.

이 연구에 의하면 6,115명의 참가자에게서 신체 증상이 매우 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69.02%인 4221명에게서 목 통증, 7.01%인 429명에게서 측두하악골(턱관절)의 이상(temporomandibular disorder), 44.64%인 2730명에게서 이갈이, 14%-23%인 858-1419명에게서 목과 턱 움직임으로 이명 증상의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2020년 The International Tinnitus Journal에 발표된 「Upper Cervical Nerves Can Induce Tinnitus」 에서는 경추에 대한 치료가 이명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37명의 이명 환자에 대해 경추 치료를 시행한 결과 대다수의 환자가 25%-50% 정도의 증상 감소를 보였고, 성공적으로 치료된 환자들의 경우 3개월 후에도 50% 가량이 치료 효과가 유지되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이수척한의원에서는 이명, 귀 통증, 이충만감, 소리에 민감해지는 증상, 어지러움, 메니에르병, 청력저하를 호소하는 분들을 자주 접하고 있고, 대부분의 경우 두개경추의 불안정 문제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두개경추불안정은 다양한 기전으로 이러한 증상을 유발하는 숨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